기획 의도 / 인문, 역사, 과학을 아우르는 통합교육의 구체적 솔루션! 2001년 첫 출간된 『Why?』시리즈를 읽었던 초등학교 3학년 독자가 벌써 대학생이 되었다. 현재 누적 판매부수 5,500만 부를 넘겨 ‘국민학습만화’의 경지에 오른 『Why?』시리즈에서 비롯된 지식과 정보의 세례를 받고 자란 세대가 이제 우리 사회를 떠받치는 동량이 된 것이다. 『Why?』시리즈가 대한민국 어린이들의 인문과 과학, 역사 교육에 이바지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Why?』시리즈를 통해 과학과 역사, 인문학에 관심을 갖게 된 어린이들이 중 · 고등학생이 되었을 때, 이어서 읽을 만한 적당한 책을 만나지 못하고 과목별로 분절된 교과서와 참고서로 돌아가야만 했다. 그들은 호기심과 궁금증을 채우기 위해 성인 과학, 인문서를 들춰보기도 하지만 여전히 기존의 지식을 심화하고 확장하는 데에 적절한 답을 얻기에 목말라 할 수 밖에 없었다. 과학과 세계사, 한국사, 인문학에 대한 기본기를 다진 청소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시리즈는 이 기본적인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답은 인문과 역사, 과학을 아우르는 『빅히스토리』에 있었다. 『Why?』시리즈가 ‘왜?’에 주목했다면, 빅히스토리 시리즈를 기획하면서 고민하고 주목했던 것은 바로 ‘어떻게?’라는 질문이다. 우주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생명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인류는 어떻게 문명을 이룩했는지에 대한 질문들의 중심에는 다시 우리는 어떻게 존재하고, 어떻게 이 모든 것을 인지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실존적인 질문이 서 있었고, 그 질문들의 해결점에는 ‘통찰력’이 자리 잡고 있었다. 빅히스토리야말로 우주의 시작에서 생명의 진화, 인류 문명의 역사를 융합하는 거대한 이야기를 통해 통찰력을 키우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었다. 빅히스토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교육 담론이며, 지적 흐름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는 인류의 역사와 우주의 역사를 통합해 배우는 빅히스토리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빅히스토리를 모든 청소년들에게 가능한 일찍 교육해야 한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애플의 성공신화를 이룩한 잡스가 추구했던 것도 기술과 인문학의 만남, 즉 학문간의 통합에서 발휘되는 시너지 효과였다. 빅히스토리 시리즈는 거대한 역사를 통합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 인문과 역사, 과학을 아우르며 다양한 학문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새롭고 놀라운 지식의 융합과 그 시너지를 마주할 수 있다. 나아가 우주와 생명의 탄생을 비롯하여 인류가 이룩한 문명과 오늘날의 눈부신 과학의 발달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의 역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깨닫게 함으로써 인문과 과학이 융합된 통합적 사고를 기를 수 있게 했다. 빅히스토리는 최근 우리 교육계의 화두인 문, 이과 통합을 비롯한 융합, 통합교육 구현이라는 당면한 과제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렇기에 빅히스토리 시리즈가 지난 몇 년간 대한민국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애써왔던 융합인재교육의 구체적인 솔루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출판사리뷰 / 여덟 번째 대전환점이자 1만 년 전에 일어난 일어난 인류 최초 의 혁명 , 농경 ! 지식 , 도구 , 제도와 같은 인류 역사의 원천은 모두 농경으로부터 비롯되었다. 그리고 여전히,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농경이다 .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 지역은 물론 지구 전체에 전체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곳에 영향을 미치며 살고 있다 . 지구상의 그 어떤 생명체보다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인류는 때때로 자연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 인간이 이렇게 지구의 환경 변화를 주도하게 된 첫 시작은 농경이었다 . 약 1만 년 전, 인류 최초의 혁명이라 불리는 농경이 싹을 틔웠고 사람들은 식량을 찾아 이동하는 대신 곡식을 재배하거나 동식물을 길들이기 시작했다 . 그리고 인류는 그들의 삶에 유리한 방향으로 자연을 이용하게 되었다. 여덟 번째 대전환점인 농경의 시작 , 『농경은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을까?』편은 』편은 문자 , 도구 , 제도 등 농경에서 농경에서 촉발된 촉발된 인류 문명의 수많은 수많은 자산들을 통해 농경의 역사적 의미와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농경의 시작을 시작을 이처럼 이처럼 강조하는 강조하는 이유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일까 ? 농경의 시작으로 시작으로 발생한 발생한 잉여 생산량은 생산량은 모두 가 평등했던 평등했던 인류 공동체에 공동체에 공동체에 계급이라는 계급이라는 계급이라는 변화의 바람을일으켰다 . 농경의 과정에서 사람들은 도구 를 개발했으며 도구는 점점 더 개량되고 발전되었다. 농사를 짓기 좋은 곳에 사람들이 사람들이 모이자 공동체는 더욱 확대되어 도시 , 국가를 형성했다. 또한 인류는 서로의 식량을 빼앗기 위해 전쟁도 불사했으며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바다를 건너기도 했다 . 새로이 정착한 곳에서 다른 공동체의 사회를 무너뜨리기도 했다 . 이 모든 과정에서 농경이 발전을 거듭할수록 사람들 역시 더 개량된 형태의 도구를 발명했고 이는 2차 혁명이라고 부르는 산업혁명으로까지 이어졌다. 이처럼 인류의 굵직한 역사적 도약에는 농경이 늘 함께했으며 그와 함께 수렵 ·채집 시대에는 시대에는 없던 복잡성과 다양성이 증가해 온 것이다 . 빅히스토리에서 농경의 시작을 여덟 번째 대전환점으로 삼은 것은 바로 그런 이유이다. 우리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 농경이 어떻게 기여해 왔으며 각 시기별로 시기별로 어떤 전환점을 일으켰는지 , 다양한 역사를 폭넓게 살펴보고 그를 통해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준비하기 준비하기 위함이다. 별도의 박스로 처리한 처리한 코너에는 코너에는 본문에서 본문에서 다 풀어 놓지 못한 배경 지식과 추가 정보를 실었다 . 특히 박혁거세 박혁거세 신화 , 소로리 볍씨 , 역참제 등 자칫 놓치고 지나가기 쉬운 우리나라의 농경 역사 , 문화를 상세하게 소개한다. 이번에 펴내는『농경은 인간의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을까?』를 통해 독자들이 독자들이 인류의 과거와 과거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농경이 미쳐 온 광범위한 광범위한 영향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다가올 미래 또 한 빅히스토리라는 새로운 새로운 통찰력으로 바라볼 바라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