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도서 소개
우리 유물유적이 전하는 살아 숨 쉬는 한국사! 유물과 유적에는 선조들이 남긴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오롯이 살아 있습니다. 유물과 유적은 당시 사람들의 생활 수단이었을 뿐 아니라 신앙과 정치였고, 때로는 나라를 수호하기 위한 도구였으며, 교류의 산물이었습니다.『유물유적 한국사 1』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통일 신라와 발해에 이르는 남북국 시대까지의 문화유산 약 300여 점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독자의 눈높이에 맞는 쉽고 친절한 설명은 독자들을 우리 문화유산이 만들어진 배경과 그에 얽힌 흥미로운 역사 속으로 안내하고, 생생한 사진과 삽화, 지도 등의 풍부한 자료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눈으로 기억할 수 있게 합니다. 우리가 문화유산을 공부하고 이해하는 일은 우리의 정체성을 깨닫고 우리 역사에 대한 안목을 키우는 길이기도 합니다. 『유물유적 한국사1』 은 독자들이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소중한 우리 역사 유산에 자긍심을 갖게 하고, 나아가 남겨진 우리의 유산을 지켜 가야 할 미래도 함께 고민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도서 특징
1. 3년간 발로 뛰며 수집·촬영한 약 400여 장의 생생한 사진과 이해를 돕는 삽화!
주먹 도끼부터 발해의 삼채병까지! 『유물유적 한국사 1』에는 대한민국의 청소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한국사 필수 유물유적 300여 점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을 만큼 귀중한 우리의 문화재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미륵사지 석탑, 충주 고구려비, 무령왕릉 등 한 번쯤 들어보기는 했지만 일일이 답사하기도 어려웠고, 교과서나 참고서만으로는 충분히 살펴볼 수 없어서 아쉬웠던 유물들! 다채롭고 생생한 사진이 가득한 『유물유적 한국사 1』로 한국사 여행을 떠나 보세요.

2. 다양한 시험 출제 포인트와 한국사 기출 문제 수록!
수능 시험과 한국사 능력 검정 시험, 공무원 시험을 비롯한 여러 시험에서는 수험생들에게 점점 사료와 문화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역사적 사건만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유물·유적과 연계시켜 기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각각의 유물·유적에는 그 시대의 역사적 배경이 담겨 있기 때문에, 유물·유적에 대한 시각 정보는 그 시대의 역사를 한눈에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게 해 주는 자료가 됩니다. 『유물유적 한국사 1』은 시험에 자주 나오는 유물·유적을 총망라하여 상세한 글과 사진으로 소개할 뿐 아니라, 실제 시험에서 어떻게 출제되고 있는지 출제 핵심 포인트를 수록했습니다. 또한 각 장이 끝나는 뒤에는 유물이 실제로 출제되었던 기출 문제를 다뤄 직접 풀어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본문 읽기
그 시기를 명확하게 칼로 자르듯 선을 그어 구분할 수는 없지만 흔히 우리나라 역사에서는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의 일부를 선사 시대라고 부르고 있어. 즉, 고조선이 건국되기 전까지를 선사 시대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야. 앞서 말했듯 선사 시대에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지금 남아 있는 유물과 유적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추측해 볼 수밖에 없어. (14페이지)

이 토기는 초기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무르고 잘 부서진다는 특징이 있어. 토기를 처음으로 만들었으니 아직 기술적으로는 그리 발전하지 못한 상태니까 당연히 무르고 잘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을 거야. 하지만 토기를 만들겠다고 생각한 것 자체가 대단하지 않니? 지금은 그릇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쓰이니까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무언가를 빚어 만들어서 거기에 물건을 담고 저장해야겠다는 생각을 인류 최초로 해낸 누군가가 있었다니…. 그 사람은 소름이 돋을 만큼 대단한 발명을 한 거야. (29페이지)

사람들이 사용한 도구라는 건, 전쟁이나 정치상의 변동, 심각한 자연재해와 같은 거대한 변동이 일순간에 몰아치지 않는 한, 갑자기 전혀 다른 것이 사용되기보다 계승되고 유지·존속되면서 서서히 변한다는 걸 기억해 두렴. 단지 청동기 시대라는 명칭이 붙은 것은 청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쓰이기 시작했던 처음 시기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야. 이전부터 사용해 오던 석기는 전혀 안 쓰고 청동만 썼다는 뜻이 아니란다. 21세기를 사는 우리도 여전히 맷돌을 쓰기도 하고, 돌로 탑이나 조각을 만들기도 하잖아. 그럼에도 우리가 석기 시대에 산다고 말하지는 않거든. 그와 같은 이치야. (41페이지)

고령 알터의 바위그림을 좀 더 면밀하게 해석해 보면 그림 속에 나오는 상징들은 태양, 생명, 풍요, 비, 물 등과 연관된다는 걸 알 수 있거든. 그래서 이 암각화의 내용은 비를 기원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 특히 그림 내용에 주요하게 등장하는 기하학적 상징들이 다른 나라의 암각화에서도 똑같이 등장한다는 점이 참 신기해. 지역이 달라도 사람들의 사고가 깨어나고 성장하는 단계에는 분명 유사한 부분들이 있다는 걸 보여 주니까 말이야.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놀라워. (65페이지)